25.05.01 (목) 21:27

Dailypharm

X
제약의학 학문정립..."근무의사 질높인다"
송대웅 기자 2005-02-23 06:27:28
[DP스페셜]연2회 정기적 학술대회 개최, "정식학회로 인정받겠다"



|기획|제약근무 의사의 역할 및 트랜드 변화

병원에서 환자를 직접 치료하지는 않지만 치료약을 만드는 제약사에서 나름대로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간접적으로 공헌하는 이들이 있다. 다름아닌 제약사 근무 의사들이다. 외국의 경우 오래전부터 의사의 제약업계 진출이 당연시 되고 필수적이지만 국내의 경우 의약분업을 전후해 급속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제약사 근무 의사의 트랜드 및 역할의 변화에 대해 4회에 걸쳐 집중 분석해 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급속히 증가하는 제약근무 의사
2. 연령층 젊어지고 진출영역 '다각화'
3. 제약의학, 체계적 학문으로 정립
4. 제약근무의사도 '글로벌' 시대
제약사 근무의사들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제약의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제약의학이란 용어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제약산업과 관련 연구개발이 활발한 나라에서는 보편화 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용어다.

제약의학회 창립멤버인 한국MSD의 김철준 부사장(52)은 “제약의학은 약품 또는 백신의 발견, 연구, 개발, 근거중심의 마케팅, 그리고 안전한 사용 등을 담당하는 의학의 한 전문분야”라고 정의한다.

 ▲ 김철준 부사장
제약근무의사 질 높이기 위해 체계적 학문교육 필요

제약의학의 주요내용으로는 ▲신약발견 ▲제약발전 ▲독성테스트 ▲법적인 이슈 ▲약물의 발전 ▲임상시험 ▲통계 및 데이터 관리 ▲약물 안전성 ▲허가·등록 ▲정보제공, 프로모션 및 교육 ▲헬스케어 경제성 ▲의학분야 등이 있다.

김 부사장에 따르면 현재 스위스, 영국, 멕시코, 필리핀은 제약의학이 전문분야로 공인되어 있으며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등은 공인되지는 않았지만 훌륭한 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

또한 가장 많은 제약의사가 활동하는 미국도 몇몇 대학에 fellowship 과정을 개설하고 전문분야로서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제약의학회는 제약의학의 체계적 학문정립을 가장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회정관에도 제약의학을 의학의 한 분야로 발전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대학교수 출신 회원들을 중심으로 전문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제약의학의 진입자격, 교육과정, 전문의로서의 자격조건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실제 국내에서는 연세대 보건대학원이 제약의학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하반기부터 인원을 선발할 예정이며, 서울대에서도 제약의학 고위관리자과정이 개설될 예정이다.

제약의학 석사과정은 의사만 지원가능하고 고위관리자과정은 일종의 보수교육 프로그램으로 제약사에서 임상·허가 업무를 하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김철준 부사장은 제약의학이 하나의 전문분야로 발전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R&D 활성화와 근거중심의 마케팅 정착이 조건이라고 말한다.

김 부사장은 “ Pharmaceutical physicion 자격이 주어져 전문분과회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M.D 트레이닝 코스와 Pharmaceutical professional 자격이 주어지는 Non-M.D 코스로 구분되어 있는 스위스 모델을 제약의학 교육과정의 이상형으로 추구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이어 “요즘 젊은의사들이 메디컬 디렉터로 제약사에 많이 진출하고 있는데 이들을 위한 실무적인 교육이 시급한 상태”라며 “예를 들어 임상프로토콜을 만들기 위한 연구방법론, 통계처리방법 등 제약사 근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서라도 제약의학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김명훈 상무
연2회 학술대회및 학술지발간..."정식학회 인정받을 것"

현재 제약의학회는 체계적인 학문정립을 위해 국제제약의학연맹의 제약교육위원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한임상약리학회 등의 유관학회와도 협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대한의학회 소속 정식학회로 인정받기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김명훈 상무(42, 한독-사노피·아벤티스)는 “정식학회로 인정받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97년부터 연 2회씩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2003년부터는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라며 “내년도 개최되는 세계제약의학대회인 'ICPM2006'을 통해 제약의학회가 세계의 흐름에 발 맞춰나가며 보다 체계적인 학술단체로 거듭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지동현 전무(한국애보트)는 "매월 셋째주 목요일 월례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임원회의, 해외출장 등으로 모이기가 쉽지 않지만 교육이사를 따로두고 외부강사초청 및 여러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는 등 내실을 기하고 있어 무언가 얻고 간다는 느낌으로 참여하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한 "따로시간을 내서 연구를 해야하기때문에 학회지를 발간하기전에는 마치 월말기사 마감하 듯 빠듯하다"라고 귀띔했다.

제약의학회 관계자는 “신약개발 및 제약마케팅의 복잡화, 국제화, 규제화가 강화되면서 미래에는 제약의사와 제약의학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의협에 회비 내고싶어도 관련규정 없어 회원불인정"

한편 제약의학의 학문정립과 더불어 제약근무의사의 정체성 확립도 극복해야할 과제로 보고있다.

제약근무의사들은 현재 의사협회의 회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의협정관 제47조의2항인 직역협의회에 따르면 공직의협의회(공중보건의사포함), 전공의협의회, 병원의사협의회로 분류되어 제약근무 의사들의 영역은 없는 실정이다.

다국적사에서 다년간 근무경험이 있는 한 의사는 "협회도 제약근무의사들을 회원으로 받아 들이고 싶어도 관련조항이 없어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협회회원으로 인정받아 회비를 내고 싶어도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일섭 제약의학회 회장은 "의사의 영역확대및 전문화 차원에서도 제약근무의사의 직능이 인정되야 할 것으로 본다"라며 "분과학회보다 규모는 작지만 하나의 전문의학단체로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협 "취지공감하지만 정관개정 필요...신중논의"

이에대해 의사협회측은 취지를 충분히 공감하지만 정관개정이 필요한 사항이라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의협 관계자는 "이미 이와관련한 건의사항을 제약의학회를 통해서 받은 것으로 알고있다. 제약의학회를 의협산하단체로 인정하는 것은 정관이 개정되야 하는 문제로 대의원총회에서 심도있게 논의가 되야 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또한 "의사의 직능확대라는 제약의학회의 취지는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즉시 수용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유감이다. 의협측에서도 이들의 직무인정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며 논의중임을 시사했다.
송대웅 기자 (dwsong@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4
독자의견
4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05.02.23 15:43:33 수정 | 삭제

     

    제약의학, 약학의학도 만들고, 의학약학, 진료약학도 만들고 대체 의학, 대체 약학도 만들고... 향기요법의약학도 만들고.. 로봇의학, 한방의학도 만들고... 의사 약사 면허도 없애고... 대통령도 없애고...

    댓글 1 0 0
    • ㅋㅋㅋ34692
      2005.02.23 23:45:32 수정 | 삭제
      공부하기 싫고, 환자 보기 시러서 온 이들의 잇권 단체를 만들려는 군요. 근무의사 자질 많이 많이 향상되어야 할텐데...
    등록
  • 2005.02.23 09:57:41 수정 | 삭제

     

    제약의학은 의약제약이다 이러다간 약학은 없어진다. 약값오르겠지

    댓글 0 0 0
    등록
  • 2005.02.23 09:19:40 수정 | 삭제

     

    약학의 직역에 의사의 길을 터주기위하여 애는 쓰는 구먼

    댓글 7 0 0
    • ㅋㅋ34691
      2005.02.23 23:43:50 수정 | 삭제
      데일리팜, 아무리 제약회사가 광고주라지만, 올릴 기사를 올려라...
    • 젊은약사34662
      2005.02.23 16:28:20 수정 | 삭제
      약국에서 약싸는게 지겨워서 여기서 매일 리플놀이하면서 삽니다. 저 약사 맞구요,, 그럼 원가놀이 할까요? 테라마이신안연고 490원!! 처방전에 의해 받으면 3800원이지롱!!
    • ㅉㅉ34635
      2005.02.23 12:09:23 수정 | 삭제
      젊은 약사 이색히 여기서 사는구만
    • ?34624
      2005.02.23 11:07:42 수정 | 삭제
      의사들이 약, 제약에 목을 매는구나..그럼 약대가지 왜 그랬나?
    • 34622
      2005.02.23 10:28:46 수정 | 삭제
      데일리팜은 메디에 실을 기사를 팜에 올리는지 이해가 안가네?무슨의도인지?
    • ..34621
      2005.02.23 10:28:04 수정 | 삭제
      놀고 있네 원래 의사선생님의 직역?을 재탄생?소설을 써라.진료도 못하면서..의새들의 직역이라.쇼를 해라.
    • 젊은약사34618
      2005.02.23 10:17:15 수정 | 삭제
      약사의 직역이 아니라 원래 의사선생님의 직역인 곳을 새롭게 재 탄생시키는 겁니다. 부러우면 다시 의대가세용!!1
    등록
  • 2005.02.23 09:16:05 수정 | 삭제

     

    입학조건은 의과대 이공대 졸어자

    댓글 0 0 0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5월)
서울 서부지역 약국 43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4,000 1,000 24,500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9,000 1,000 29,444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6,000 2,000 6,908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4,000 1,000 4,563
지르텍정(10정) 6,000 4,000 2,000 5,15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