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5.02 (금) 17:39

Dailypharm

X
첫 2천명대 약사 배출...해외파·신설약대·난이도 영향
정흥준 기자 2025-02-14 05:56:44
쉬웠던 국시에 합격률 급증

약사예비시험 문턱 낮아져...5명→88명 확대

신설 제주대·전북대 작년부터 졸업생 나와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올해 약사국시에 합격해 신규 배출되는 약사는 2073명으로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했다. 해외약대 출신의 증가, 제주대와 전북대 등 신설 약대 졸업생 추가, 국시 난이도 하향 등의 복합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매년 국시 합격자가 나오지만 2000명을 넘긴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던 응시생은 해외약대 출신을 대상으로 한 약사예비시험이 첫 도입된 2020년을 전환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2020년 2126명이었던 응시생은 2021년 1920명으로 급감했다. 1회 약사예비시험 합격해 국시 응시 자격을 갖추게 된 해외약대 출신이 5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를 거듭하며 약사예비시험이 공략됐다. 2회 19명, 3회 36명, 4회 43명으로 매년 합격자가 늘어났다. 작년 5회 시험에서는 87명이 합격했다.


약사예비시험을 합격하면 언제라도 국시 응시가 가능하다. 국시에 떨어져도 다음 해 응시가 가능하다. 다만 예비시험을 통과한 해외약대 출신은 대부분 국시에 합격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국시원에 따르면 올해 약사국시에 접수한 해외약대 출신은 88명이다. 2021년에 급격히 줄었던 응시생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019년 신설된 제주대와 전북대 졸업생이 작년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것도 응시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신설 약대가 졸업생을 배출하면서 전국 약대 졸업생은 60명이 늘어났다.

전국 37개 약학대학 입학정원은 정원외 포함 1900여명이다. 신설 약대 2곳의 졸업생까지 합산되면서 작년부터는 졸업 인원이 소폭 늘어난 것이다.

무엇보다 올해 약사국시 난이도가 크게 낮아진 점이 합격생 증가에 주된 요인이 됐다. 2000년대에는 80% 중후반대를 기록했던 합격률은 2015년을 기점으로 90%대로 올라왔다.

또 2018년부터 2024년까지 90%대 초반에 머물러있었던 합격률이 올해 94.9%로 급증했다. 국시 난이도가 하향하면서 전년 90.7% 대비 합격률이 4.2% 올랐다.

재작년 대비 전년 합격률이 3% 급락한 바 있는데, 다시 난이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물국시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정흥준 기자 (jhj@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9
독자의견
9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25.02.16 00:32:36 수정 | 삭제

     

    졸준위가 없어진다면 합격률이 낮아지지 않을까?

    댓글 0 5 0
    등록
  • 2025.02.15 23:42:08 수정 | 삭제

     

    다 같이 죽자!! 하 인생 …..

    댓글 0 0 0
    등록
  • 2025.02.14 17:00:21 수정 | 삭제

     

    2000+120 년에 2120명씩 나오면 10년만지나면 볼만할듯

    댓글 1 4 0
    • 1482600
      2025.02.15 08:55:31 수정 | 삭제
      이미 증원된지 10년됨ㅋㅋㅋ 볼만하자나
    등록
  • 2025.02.14 12:35:10 수정 | 삭제

     

    한약 자원 학과 애들 보다 못하는 경우도 많은데 애꿎은 한약사만 뭐라고 함

    댓글 2 5 16
    • ㅇㅇ482593
      2025.02.14 23:46:18 수정 | 삭제
      필대출신 한명도 없던데..대부분 미국입니다.
      작년에 미국이 절반정도였고, 그다음 일본,캐나다 호주,영국 순이었습니다. 헝가리,코스타리카1명씩... 이게 전부..한약 자원 학과 애들 보다 못한 약사는 제가알기로는 역대 한 명도 없었습니다.
    • ㅋㅋㅋㅋㅋ482583
      2025.02.14 13:16:11 수정 | 삭제
      똥물충같은 쓰레기 하기 싫어서 해외간다잖아
    등록
  • 2025.02.14 12:10:24 수정 | 삭제

     

    뒷구멍으로 들어간 빡통들 때문에 더 힘들어지게 생겼다

    댓글 0 7 0
    등록
  • 2025.02.14 10:19:38 수정 | 삭제

     

    교수놈들 애새끼중에 유학파있다 아님 뒷구멍으로 들어간 꼴통자식이 있거나 교수니들 밥통때메 싸개들 더 ㅄ됐음

    댓글 1 10 2
    • 무죄추정482576
      2025.02.14 11:13:11 수정 | 삭제
      이 ㅆㅂㄹ은 법도 모르고 뇌내 망상을 손가락으로 갈기고 있노
    등록
  • 2025.02.14 09:14:01 수정 | 삭제

     

    합격률을 85% 정도 맞추는게 맞다고 본다 원래 약사들은 약국 병원 말고도 필요 인력이 여기저기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다 면허증 받을 필요는 없음

    댓글 0 24 0
    등록
  • 2025.02.14 09:03:36 수정 | 삭제

     

    허벌이네

    댓글 0 5 1
    등록
  • 2025.02.14 08:49:59 수정 | 삭제

     

    신생약대 늘어나서 힘들어 죽겠는데 무슨 난이도까지 쉽게 해서 해외약대 애들까지 받아야 겠음 ? 정신 좀 차려라..

    댓글 0 32 4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5월)
서울 서부지역 약국 43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4,000 1,000 24,500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9,000 1,000 29,444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6,000 2,000 6,908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4,000 1,000 4,563
지르텍정(10정) 6,000 4,000 2,000 5,15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