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5.02 (금) 14:57

Dailypharm

X
제약 실무진 10명 중 3명 "코로나 이후 실적부진 걱정"
천승현 안경진 기자 2020-06-02 06:00:43
[DP스페셜][창간 21주년 특별기획]➃제약사 대상 코로나 위기대응 설문

3명 중 2명 "목표 하향조정으로 위기 대응 모색"

응답자 40% "전통적 대면영업 탈피"


[데일리팜=천승현 안경진 기자] 제약사에 근무하는 실무진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실적부진을 가장 큰 고민으로 지목했다. 코로나19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회사 차원에서 실적 목표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가장 많았다.

데일리팜은 창간 21주년을 맞아 제약사 실무진 7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포스트코로나 위기대응 전략’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제약사 실무진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체감하는 가장 큰 불편을 묻는 질문에 ‘대면업무 축소에 따른 실적 저조’를 지목하는 답변이 228명(31.4%)으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환자들이 의료기관 방문을 꺼리면서 제약사들의 주력사업 영역인 처방의약품 매출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제약사들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재택근무를 확산했는데 거래처 관리 소홀에 따른 실적 부진에 대한 걱정이 가장 큰 고민으로 부상한 것이다.

일자리 축소에 대한 불안감을 지목하는 답변이 25%(181명)를 차지했다. 비대면업무 확대와 같은 업무 방식 변화로 구조조정에 따른 인력 감축을 우려하는 실무진들이 많다는 의미다. 재택근무에 따른 업무 비효율(17.9%), 회사의 감시강화와 직장상사의 불신(13.0%), 업무와 사생활의 경계 소멸에 따른 워라밸 악화(12.7%) 등을 새롭게 떠오른 불편함이라고 지목하는 응답도 많았다.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해 제약사 실무진 중 65.1%(472명)은 목표 하향조정 등 매출목표 수정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회사 차원의 목표 조정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견해다.

급여 또는 마케팅 비용 등 운영비 절감으로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답변은 28%(203명)를 차지했다. 인력 감축(13.8%), 투자 축소(11.2%)를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도 10%가 넘었다.


제약사 실무진들은 코로나19를 계기로 전통적 영업방식 탈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영업·마케팅 전략 개편 방향에 대해 제약사 임직원 40.3%(292명)은 온라인 영업·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대면영업의 위축과 비대면영업 활성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IT 기반의 비대면 영업 전략 강화가 필수 생존전략이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는 셈이다. 시장성 있는 제품 발굴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도 29.8%(216명)로 나타났다.

제약사 실무진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인력 구조조정이 예상된다고 인식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제약산업 일자리 감소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전체 규모는 큰 변화 없지만 직능이나 업체 규모에 따라 적잖은 견해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61.1%(443명)에 달했다. 제약산업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는 실무진들도 14.6%로 조사됐다.


일자리가 줄어들 경우 영업직이 가장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답변이 57%(413명)를 차지했다. 비대면 업무 활성화로 영업사원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하는 견해가 확산한 것이다.인사, 관리 등 내근업무의 일자리 감소를 전망하는 답변도 28.7%에 달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IT 기반의 온라인 업무를 담당하는 일자리가 확대될 것이라는 의견이 40.1%로 나타났다. 마케팅 업무 일자리 확대를 지목하는 답변도 22.6%로 집계됐다.

제약사 실무진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영업방식의 전면 개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면영업 축소 여부를 묻는 질무에 절반 이상인 54.5%(395명)은 ‘종전대로 하면 된다’라고 답했다. 사회적으로 대면업무를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됐지만 의사나 약사를 직접 만나 영업활동을 펼치는 것이 실적에 더 도움이 된다는 보수적인 견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의미다. 대면영업을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은 38.8%로 조사됐다.


제약업계 재택근무나 유연근무 정착 전망에 대해 실무진 절반 가량(50.9%)는 대세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업무방식의 개편은 시대적 요구라는 반응이다.

제약사 임직원들은 재택근무나 유연근무가 업무 능률을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44.1%가 재택근무나 유연근무가 업무효율화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데이터는 데일리팜이 제약사 소속 임직원 725명을 대상으로 자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네이버 폼- 오피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여업체는 GC녹십자, GC녹십자셀, JW중외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팜, SK케미칼, 갈더마코리아, 광동제약, 경보제약, 국제약품,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대웅제약, 대원제약, 동구바이오제약, 동국제약, 동성제약,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동아제약, 동화약품, 메디포스트, 바이넥스, 바이엘코리아, 박스터코리아, 보령바이오파마, 보령제약, 보령홀딩스, 보령컨슈머헬스케어, 부광약품,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 사노피파스퇴르,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진제약, 셀트리온, 씨티씨바이오, 아이디언스, 안국약품, 알보젠코리아, 암젠코리아, 에스티팜, 에이치케이이노엔, 유유제약, 유한양행, 익수제약,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일동제약, 일동홀딩스, 일양약품, 제일약품, 조아제약, 종근당,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풍림무약,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 한국노바티스, 한국다이이찌산쿄, 한국다케다제약, 한국로슈, 한국룬드벡, 한국릴리, 한국머크, 한국BMS제약,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국엘러간, 한국엠에스디, 한국애브비, 한국얀센, 한국오츠카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한국화이자제약, 한독,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풍제약, 환인제약, 휴온스, 휴젤 등 78곳이다.

천승현 안경진 기자 (1000@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2
독자의견
2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20.06.03 18:44:05 수정 | 삭제

     

    포스트코로나때 직원 이간질에 병원동행 갑질 강요시키지마라.

    댓글 0 6 0
    등록
  • 2020.06.02 09:25:08 수정 | 삭제

     

    자기 잇속차리기위해 일반주주들 몰래 CB등 사채끌어다 쓰는 악덕기업도 많다. 모두가 힘들든 모두가 웃던 함께해야하는데 혼자 살겠다고 발버둥치는 자질부족 오너기업도 있는게 한심스럽다.

    댓글 0 0 0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5월)
서울 서부지역 약국 43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4,000 1,000 24,500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9,000 1,000 29,444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6,000 2,000 6,908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4,000 1,000 4,563
지르텍정(10정) 6,000 4,000 2,000 5,15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