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5.02 (금) 02:58

Dailypharm

X
쌍벌제·국내사 불매운동에 저가약 처방 '찬물'
이혜경 기자 2010-11-09 06:50:12
[DP스페셜]건정심 수가인하땐 의협 약품비 절감사업 올스톱될 듯



[긴급진단] 개원가 약품비 절감운동 향방은?

지난해 수가협상에서 의협이 2010년도 약제비 1776억원 절감을 부대조건으로 달고 3% 인상안에 합의했다. 이에 개원가는 3월부터 8월까지 '약품비 절감 운동'을 실시했지만 리베이트 쌍벌제 법안 통과 등 변수가 생기면서 1776억원 절감에 성공하지 못했다. 2011년도 수가협상에서 의협만 유일하게 협상이 결렬돼 건정심으로 넘어간 가운데 약품비 절감운동이 지속가능한지, 또 개원가의 반응은 어떤지 점검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약품비 절감, 개원가 현장 목소리
2.수가협상 결렬과 약품비 절감운동 지속 가능성
대한의사협회는 지난해 수가인상의 부대조건으로 합의한 1776억원 약품비 절감을 추진하기 위해 올해 초 '의약품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대책위원회는 약품비 절감 운동 주요 방법으로 고가약·불필요한 의약품 처방과 처방일수 줄이기를 선택하면서 처방 건당 459원, 처방 일수당 58원 절감하기 운동을 진행했다.

회원들의 동참을 유도하기 위해 '다빈도 처방 성분별 전체 의약품 목록과 약가 관련 정보' 유인물을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다.

이는 약품비 절감 기준이 되는 3월부터 8월까지 오리지널 의약품 보다 제네릭 의약품 처방을 진행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의협, 회원 참여 유도 '뭇매'

하지만 의협의 약품비 절감 운동은 시작하기도 전부터 의사회원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지난해 12월 동대문구의사회 행사에 참여한 경만호 의협 회장이 "1인당 약제비 1650원만 막아주면 문제될 게 없다"고 발언한 이후 회원들로부터 온갖 비방과 비난을 들어야했다.

또한 자신감 있게 "결렬이 되더라도 최소 2.7% 수가 인상률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약품비 절감 약속이 수가 인상을 발목 잡는다고 여기면 안된다"고 했지만, 결국 현 사태는 의약단체 중 유일하게 '수가 결렬'을 맞았다.

쌍벌제 여파…국내제약사 퇴출운동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3월 리베이트 쌍벌제를 담은 의료법 개정안이 법사위를 통과하고, 이어 4월에는 본회의를 무난히 통과하자 개원 의사들의 반발 강도 수위가 높아졌다.

 ▲ 지난 4월 리베이트 쌍벌제 통과 이후 의사 온라인 커뮤니티는 국내제약사 불매운동 이야기로 도배됐다.
특히 정부 측에 쌍벌제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제약사 5~6곳에 대한 불매운동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결국 약품비 절감의 핵심이 되는 제네릭 처방 늘리기가 국내 제약사 불매운동과 함께 오리지널 의약품 처방 등의 큰 산을 만나게 된 것.

더욱이 불매운동은 의사 온라인 커뮤니티 수준을 넘어 전국 시도의사회가 제네릭 처방과 함께 제약회사 영업사원 출입금지 카드를 뽑으면서, 그야말로 약품비 절감 운동은 '강건너 불구경'이 되버렸다.

개원의협, 의협 '건보재정' 걱정

특히 지난 8월 올해 3~4월 의원급 약품비가 공개되면서 2011년도 수가협상의 불운이 예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3~5월 심사결정분 가운데 전국 3~4월 진료분 기준 의원급 약품비가 전년동기 대비 11.8% 증가한 8074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올 3월 약품비는 4254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 3758억1000만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13.2% 증가했으며, 4월에는 3819억800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10.4%를 나타냈다.

대략적인 약품비 증가 폭이 공개되자 대한개원의협의회는 긴급 조찬회의를 열고 8월 한달 간 회원들을 대상으로 제네릭 처방을 독려하기로 결정했다.

김일중 개원의협의회장은 "리베이트 쌍벌제 여파로 회원들의 참여를 이끌기 힘들었다"며 "남은 기간 동안 사력을 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개원의협의회는 제네릭 처방 늘리기, 필요한 의약품 처방하기, 만성질환자 장기 처방 금지, 중복처방 금지 등을 회원들에게 통보했다.

여기에 의협 또한 약품비 절감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의협은 "약품비 절감 운동은 건보재정 붕괴 방지와 건강권 보호 차원에서 중요하다"며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수가연동으로 진행된 운동은 여러 악재로 추진 동력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수가협상 결렬…약품비 절감운동 지속 가능한가

수가연동과 관련없이 지속적으로 약품비 절감운동을 추진하겠다는 의협이 수가협상 결렬 이후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의협 관계자는 "수가결렬에 일차의료활성화 방안조차 안나온 상황에서 의협이 회원들에게 약품비 절감을 독려할 수 없다"며 "일단 건정심 상황을 봐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결국 이번 건정심에서 의협이 원하는 3% 이상의 수가인상률이 나오지 않는다면 약품비 절감운동 지속 추진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정국면 보험부회장은 "지난해 부대조건으로 받아들인 약품비 절감으로 인해 회원들의 저항이 컸다"며 "피동적으로 회원들에게 제시하는 형태가 됐다"고 설명했다.

정 부회장은 "리베이트 쌍벌제 등 여러 악재까지 겹쳤지만 지난 9월 지속적으로 약품비 절감을 하자는 논의가 오갔다"고 밝혔다.

정 부회장은 "당시에는 정부, 보험자, 가입자 대표들이 걱정하는 것 이상으로 의협이 건보재정을 걱정했기 때문에 추진 결의를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 원가 보전은 고상하고 심리적으로 달랠 수 있는 수가 인상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은 의원들의 약품비 절감 운동은 불구하고, 생계유지조차 힘들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의협의 약품비 절감 운동은 이달 내 건정심에서 결정되는 수가 인상분에 따라 지속 추진과 중단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혜경 기자 (hgrace7@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16
독자의견
16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10.11.10 14:06:55

     

    도대체 생때도 이런 생때들이 ㅡㅡ

    댓글 0 0 0
    등록
  • 2010.11.10 09:42:31

     

    과연 최고일까??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14:28:38

     

    뒤로 받고 있을것이다..생계 웃긴다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12:24:56

     

    성분명처방을 도입하여 약국간의 본인부담금 인하 경쟁을 하고 비급여 확대로 비급여약을 많이 처방하여 본인부담금이 늘어나는 병.의원을 환자로 하여금 도태 시키게 돼면 간단하다.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12:14:58 수정 | 삭제

     

    약사의 자가조제로 풀자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12:09:24 수정 | 삭제

     

    일본은 6개넘으면 비급여이다.처방약 수량을 줄여라.그리고 차상위계층도 줄여라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10:21:28

     

    성분명 처방코드---제약회사 약품명 처방코드--2코드에서 의사는 성분명 처방코드만 사용하고 약사는 그 뒤에 제약회사약품코드을 넣어 조제 청구 --평균가보다 비싸면 무조건 삭감,혹은 사용사유를 첨부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09:59:34

     

    의사들의 오리지널처방은 단순히 쌍벌죄와 무관하게 약제비 절감차원에서 필요한 부분이고 ,약제비 절감이 선행되지 않으면 건강보험재정파탄이 급가속될것이다.나라재정이라하여 마음대로 쓰고 보자는식이 되어서도 안되고.환자에게 양질의 약이 오리지널약,또는 고가약이 모두 양약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할것이다.환자상태를 면밀히 검토하고 제너릭을 연구하여 싸고 좋은 약으로도 환자의 병을 치료할수있는 의사가 진짜 실력이다.그런데 공부를 제대로 하지않고 약타령만 한다면 결국은 실력부족이랄수 밖에?

    댓글 1 0 0
    • 송빈씨269673
      2010.11.09 13:22:22 수정 | 삭제
      일본의사는 80.4프로나 오리지날을 처방합니다. 일본의사는 실력부족입니까? 우리나라 의사는 일본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35.5프로의 오리지날을 처방합니다. 통계를 알고나 말합시다.
    등록
  • 2010.11.09 09:36:56

     

    회장이 왔다갔다 해도 회원들이 지지해줘야 뭐가 될텐데...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09:14:31

     

    협회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아 ...

    댓글 1 0 0
    • 맞아269670
      2010.11.09 12:46:45 수정 | 삭제
      대부분 의사들은 3프로든 2프로든 동결이든 대세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더라. 다 더럽다더라.
    등록
  • 2010.11.09 09:12:51

     

    약재비절감을 달성한다는 조건으로 지난해 수가인상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에 와허는 수가인상을 해주지 않는다면 약제비절감을 추진하기 어렵다라고 하고 있네요. 쌍벌제라는 이슈를 대처함에 있어서, 의사선생님들이 선택하신 카드는 바로 약재비절감을 무시하고 국내제약사를 압박하는 것이었습니다. 스스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에 되어있던 약제비절감이라는 약속을 의도적으로 어기셨던 것이죠. 그런데 지금의 주장은 앞뒤가 뒤바뀐 상태의 것입니다. 이것은 억지나 다름 없다 생각합니다. 스스로 의도한바에 의해서 약속을 어기셨다면, 그것으로 인한 책임 또한 스스로 져야 하는 것 아닐까요? 이런 식으로 모든 상황을 내맘대로 식으로 진행하신다면 과연 그 누가 의사선생님들의 말씀을 믿을 수 있겠습니까? 스스로 하신 말씀에 대해서는 최소한 책임을 지는 것이 올바르다 생각합니다.

    댓글 15 0 0
    • 성소민269783
      2010.11.10 10:54:38 수정 | 삭제
      (이어서) 최소한 남의 글을 비판하시려면 글의 내용부터 제대로 읽어 이해하시고 하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 성소민269782
      2010.11.10 10:54:04 수정 | 삭제
      인간님 쓰신 님께, 제 글을 읽기는 하셨나요? 의사선생님들이 어기신 약속은 "약제비 절감" 이었습니다. 약제비를 절감할 것을 약속하고 지난해의 수가인상을 받으셨지요. 도대체 제 글 어디에 처방전 2매발행과 상품명처방이라는 글이 한글자라도 들어가 있던가요?
    • 인간님269780
      2010.11.10 10:44:28 수정 | 삭제
      "처방전 2장발행은 약속이니까 군소리말고 지켜야되고 상품명 처방은 비합리적인부분이 있으니 도입하자" 뭐 그런거요? 여기서 말장난 하면 자아도취에 빠져 뿅가고 그러슈? 왜그라구사슈? 그거 병이랍디다.
    • 성소민269765
      2010.11.10 09:07:02 수정 | 삭제
      (이어서) 민주사회의 구성인 답지 못한 모습이 아닌지요? 그리고 헌법을 바꾸는 것도 사회구성원들의 동의가 없이 가능한 일이던지요? 사회구성원들의 동의라는 것도 하나의 약속입니다. 약속의 의미를 너무 가볍게 여기시는 것이 아니신지요?
    • 성소민269764
      2010.11.10 09:04:42 수정 | 삭제
      소민님 쓰신 분께, 약속이라는 것이 어느 한쪽만의 주장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던가요? 스스로의 결정으로 약속을 했다면 당연히 그 약속을 지킬 의무가 생기는 것입니다. 약속까지 스스로 다 해놓은 일을 나중에 가서 이핑계 저핑계로 이행을 거부하는 것이야 말로 �
    • 소민님269758
      2010.11.09 21:14:12 수정 | 삭제
      약속은 뭔 약속입니꺼? 잘못된거라면 바꿔야합니다. 헌법도 시대에따라 바뀌거늘 젊으신분이 왜 그러신데요? 다들 바꾸자고 선거도하고 집회도하는것입니다. 님 말대로라면 지금 법을 거스리는 사회현상들은 다 억지입니까?
    • 성소민269740
      2010.11.09 18:07:03 수정 | 삭제
      (이어서) 것이 옳다는 이야기는 억지에 불과하다 생각합니다.
    • 성소민269738
      2010.11.09 17:47:30 수정 | 삭제
      한심 두심 쓰신 님께, 님 또한 논점일탈의 오류를 범하고 계십니다. 스스로의 약속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제 주장에 왜 엉뚱한 소리로 일관하시는지요? 수가의 높고 낮음을 제가 문제삼은 적이 있습니까? 그리고 수가가 낮으면 약속을 어겨도 보상을 무작정 해주는
    • 성소민269737
      2010.11.09 17:44:58 수정 | 삭제
      비교할껄 쓰신 님께, 논점일탈의 오류를 범하고 계십니다. 약속을 어겼으니 그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제 주장에 엉뚱한 근거로 반박을 하셨습니다. 약속은 약속, 어기신 것에 대한 책임은 어떠한 변명으로도 무마될 수 없지 않은지요?
    • 의사269671
      2010.11.09 12:52:10 수정 | 삭제
      10만 의사중 70프로 이상이 월급쟁이와 퇴직으로 손논 의사로 수가에 관심이 없고 , 나머지 30프로중에서도 5프로 미만 정도는 비급여 진료로 수가에 관심없는 의사라네. 의사회 말빨이 모든 의사의 아우성이 아니란거. 그래서 의사는 뭉치지 못한다.
    • 한심 두심 269669
      2010.11.09 12:40:56 수정 | 삭제
      아? 지잡출신들의 열등감이 문제야. 그래서 약대도 서울이 대세.
    • 한심 두심269668
      2010.11.09 12:38:13 수정 | 삭제
      의사진찰료가 오르던 내리던 뭔 상관. 의사 진찰료가 오르면 약사에게 뭔 손해라도 생기나? 왜 의사랑 각못세워 난리지? 그냥 못본척하고 떡이나 먹읍시다. 의사 진찰료 오르면 오를수록 약사에게 득이면 득이지 손해날건 없는데 왜들 그러나? 저느매 열등감 어쩌면 좋�
    • 비교할껄 비교하셈269667
      2010.11.09 12:33:58 수정 | 삭제
      의사가 진찰하고 60일 처방내면 8천원 남짓, 그 처방전으로 약사가 약 조제하면 조제료가 의사 진찰료에 따블에 육박.... 평균 조제료도 의사진찰료에 2/3에 육박... 전세계 통털어 의사 진찰료 대비 조제료가 조선처럼 후한 나라가 없다쥐?
    • 성소민269658
      2010.11.09 11:47:23 수정 | 삭제
      흠 쓰신 님께, 똑같이 인건비 상승에 공과금등 지출상승이 큰 약국도 2.2프로의 수가인상으로 그쳤습니다. 그런데 약속마저 어기고도 3프로를 요구하신다면 도가 지나치신 것이겠지요.
    • 269644
      2010.11.09 10:35:20 수정 | 삭제
      인건비에 세금에 공과금 오른게 몇 프로인데 그깟 3프로 올려준걸로 생색이 그리 크노? 3프로든 0.5프로든 대세에 지장없다. 수가인상 더럽고 치사해서도 싫으니 다 그만두고 공공요금이나 동결하라.
    등록
  • 2010.11.09 09:10:46

     

    의협의고단수에넘어가면안됩니다.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09:02:26

     

    수가 왕창 올리고 진료비 수억 받고 리베이트 수억 받고 오빠 맘대로해.

    댓글 0 0 0
    등록
  • 2010.11.09 08:22:47

     

    리베이트가 처방을했지 우리 마음대로 처방은 하지않었으며 -- 저가약 처방 보다 -- 리베이트가 우선이다

    댓글 6 0 0
    • 꼴깝269672
      2010.11.09 12:59:57 수정 | 삭제
      과일이나 야체를 먹어도 유기농 "초록마을"에 가서 사먹는데 약을 싸구려로 먹으란거요? 동내 의사늠덜 죄다 싸구려 제네릭만 처방해서 난 대기시간 더 들이고 진료비도 더내면서 꼬박꼬박 혈압약도 대학병원 교수님한테 받는다. 오데서 개 수작임미?
    • 당신하고 269666
      2010.11.09 12:29:38 수정 | 삭제
      당신 부모와 애더른 100원 짜리 제네릭 먹고 30원 니돈 내고 보험덕 70원 봐라. 난 1000원 짜리먹고 내돈 300원 내고 700원 보험덕보며 살란다.
    • ㅋㅋ269665
      2010.11.09 12:19:56 수정 | 삭제
      그것도 의사편든것같아 의사로 뵈는겨? 간호보조가 부럽쩨? 귀여븐 것들...
    • 간호보조269655
      2010.11.09 11:42:15 수정 | 삭제
      쌍집행이 집고글쓴거보니 의사선생님이시다 선생님 솔짓해보세요
    • 269645
      2010.11.09 10:38:33 수정 | 삭제
      조선 똥싸개 수준이네. 약사들은 오리지날에 뿌로 더 받나보네? 아님 품목도매, 3류사 약 조제해 뿌로 10프로 옹골지게 챙기고 싶어서 그러나? 하여간 똥싸개나 의.새늠덜이나 징허다.
    • 뷰~269643
      2010.11.09 10:31:59 수정 | 삭제
      오리지날이 리베이트 준답띠까? 애들 학용품 하나도 안전 따지며 명품을 찾고 상추하나도 유기농 찾아가며 먹는데 하물며 약을 아무거나 먹으란 거요? 부자는 쌱스핀 먹고 가난한자는 자장면 먹듯이 능력에 맞게 오리지날도 먹고 제네릭도 먹는 법입니다.
    등록
  • 2010.11.09 08:09:39

     

    국내사 제품 불매운동을하면서도 -- 자칭 애국자라고 하면서-- 환자를 위하여라고

    댓글 10 0 1
    • 환자보다269674
      2010.11.09 13:28:37 수정 | 삭제
      리베이트보가 좋터라고요
    • 말귀 못알아듣네269664
      2010.11.09 12:16:13 수정 | 삭제
      대형도매 오리지날 뿌로 코딱지다. 3류 제네릭 뿌로 짭짤하다 ... 서로 먹고 살게 제네릭 쓰란거자너.
    • 그래서269663
      2010.11.09 12:12:26 수정 | 삭제
      의사가 비싼 오리지날을 처방하는건 리베이트많이 받기위해서고..... 또 싼 제네릭 똥약 처방하는것도 리베이트를 위해서란거네.... 직일느매 의사늠덜 이란거네....ㅋㅋㅋ
    • 간호조무사269662
      2010.11.09 12:07:53 수정 | 삭제
      우리 간호조무사님들이 부럽니? 기여분 것들...ㅎㅎㅎ 전화만 해도 절절매는것들이 입만살아서.
    • 모든처방은269653
      2010.11.09 10:52:12 수정 | 삭제
      환자를위하고 병을고치기위하여 처방을하고있습니다 정말로그럴까요
    • 간호보조269652
      2010.11.09 10:49:49 수정 | 삭제
      그러며는 우리도심심한 입이 즐거워집니다 ㅎㅎㅎㅎㅎㅎㅎ
    • 간호보조269651
      2010.11.09 10:48:08 수정 | 삭제
      회사특별한영업사원만다녀가고나면리베이트거래가되고 처방을하게되던데요
    • 진권님269642
      2010.11.09 10:25:45 수정 | 삭제
      조선 약사의 주댕이짓만 믿지말고 통계로 말하세요. 그리고 시장 먹거리하나도 좋은걸 찾는데 약은 아무거나 먹으란거요. 님이나 애국하며 3류사꺼 드세요 .난 그리 못합니다.
    • 애국이 뭔디?269640
      2010.11.09 10:19:08 수정 | 삭제
      우리나라는 오리지날 대비 제네릭 약가가 일본보다 비싼 72.5프로로 오리지날과의 약가차이가 일본의 절반 수준이나 의사의 오리지날 처방율은 35.5프로로 일본의 절반에 지나지않는다. 고로 우리나라 의사는 진권님 논리대로라면 애국자인셈이다.
    • 애국이 뭔디?269639
      2010.11.09 10:12:30 수정 | 삭제
      일본은 오리지날 대비 제네릭 약가가 49.8프로 싸지만 의사들은 오리지날을 80.4프로 처방한다. 일본의사들은 다 비 애국자겠네. 애들쓰는 학용품도 명품을 따지고 상추 한장도 유기농을 찾는데 약은 아무거나 싼것으로 먹으라는게 말이되나?
    등록
  • 2010.11.09 08:00:35 수정 | 삭제

     

    한달에 2000이상씩 벌면서 생계가 어려워??어느 나라에서 사는데 생계가 어렵니?ㅋㅋ

    댓글 0 0 1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5월)
서울 서부지역 약국 43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4,000 1,000 24,500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9,000 1,000 29,444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6,000 2,000 6,908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4,000 1,000 4,563
지르텍정(10정) 6,000 4,000 2,000 5,15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