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5.02 (금) 01:37

Dailypharm

X
"위장점포 약국도 허가나면 취소 불가능"
김정주 기자 2009-09-11 12:28:00
[DP스페셜]법 취지, 경쟁방지 아닌 공익…등록거부사유 입증시기 관건



[기획시리즈]약국개설등록 법률해석 A to Z

의약분업 이후 약국개설등록 허가의 핵심기준은 의료기관-약국 간 담합임에도 기준정비가 잘 되지 않아 해석의 어려움이 많다. 이에 데일리팜은 총 6회에 걸쳐 박정일 변호사의 '약국개설등록 거부사유의 기준 연구' 논문을 통해 그간의 관련 판례들을 모아 그 기준을 정립해 보고자 한다. 관계 법률은 약사법 제20조 5항의 2~4호다. 독자 여러분의 열독을 기대한다.[편집자주]

<1> 천차만별한 허가개념
<2> 인근약국, 문제제기는 허가 전에
<3> 의료기관 연관 개국 판단기준
① 클리닉빌딩 내
② 준·종합병원 내
③의료기관 분할
<4> 전용통로 판단의 3요소
약국 간 개설을 놓고 벌이는 분쟁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위장점포로 '치고 들어오는' 문제다. 그러나 이에 대해 문제제기 할 수 있는 시기와 적격인정 요건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아는 약사들은 드물다.

의료기관이 있고 동일 건물에 약국이 유지돼 온 상태에서 또 다른 약국이 의료기관과 같은 층에 개설허가가 떨어졌는데, 이때 허가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해 취소를 요청하는 다툼에서 과연 법원은 무슨 근거로 어떤 판결을 내리고 있을까. 다음 사례를 통해 짚어보자.

사실, 법원은 이 사건을 판결할 때 B약국이 의료기관과 전용복도로 연결돼 있다고 볼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각하한 이유는 무엇일까.

약사법 제20조의 근본취지는 약국이 특정 의료기관의 조제실 역할을 하는 것을 방지해 의료기관과 약국이 상호 구조적·경제적·기능적으로 독립해 운영되게 함으로써 분업 원칙을 실현키 위한 것이다.

또한 법조항(제20조)을 포함한 이 사건 처분의 근거가 된 약사법과 관련 법령 등은 약사나 한약사만이 일정 시설기준을 갖춰 개국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장소에 대한 일정 제한을 가하는 등으로 의료기관-약국 간 담합을 방지, 국민보건의 향상에 기여하는 공익을 보고하고 있을 뿐이다.

즉, 행정소송에 있어 취소소송 제기라는 부분은 법률상 보호이익이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것인데, A약국 약사와 같이 경쟁약국 방지 목적이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법원은 당시 A약사가 어떠한 이익상 침해를 받았다 하더라도 이것은 사실적이고 경제적인 이익을 침해당한 것이지 법률상의 침해라 볼 수 없다는 것, 다시 말해 취소를 구할 당사자 적격이 없다고 판단해 각하처리 했다.

개설거부사유 약국 나타나면 허가 전에 막아야

법원은 이와 유사한 분쟁들에 대해서도 보건소 개설허가가 난 약국에 대해서는 일관된 판결을 내리고 있다.

때문에 현실적으로 약사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개설되고 나서 법적다툼으로 발전하기 전단계인 개설등록 전에 문제를 제기, 개설거부사유에 해당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박정일 변호사는 "전용통로 등 부당하다고 판단되더라도 개설이 되고 나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민원제기의 방법도 있으나 이는 법적효력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조언했다.

개설등록거부처분 취소소송, 약사회 보조참가 가능할까?
기본적으로 행정소송법 제16조 제1항에 따라 법원은 소송 결과에 따라 권리 또는 이익 침해를 받을 제3자가 있는경우, 당사자 또는 제3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한 결정으로 제3자를 소송에 참가시킬 수 있다.

또한 민사소송법 제71조에 따라 이해관계가 있는 제3자는 한 쪽 당사자를 돕기 위해 법원에 계속 중인 소송에 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말하는 '이해관계'라는 것은 법률상의 이해관계이지 사실상 또는 경제상·감정상이 아니다.

행정청의 약국개설등록거부처분에 관한 취소소송에서 실제로 대한약사회가 피고 측인 행정청을 돕기 위해 보조참가를 신청해 피고 측에서 상고를 포기했음에도 참가, 파기환송 판결을 이끌어낸 바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 경우는 민사소송법 제67조의 규정에 따른 상대 측의 이의제기가 없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후 약사회 참여와 관련한 법적 다툼이 불거지자 법원은 "대한약사회의 참가이유는 사건 소송결과에 대해 사실상·경제상 또는 감정상의 이해관계에 불과할 뿐 법률상 이해관계라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 일관되게 각하했다.
김정주 기자 (jj0831@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5
독자의견
5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09.09.30 01:29:13 수정 | 삭제

     

    허가나기전이라.. 말은 쉽게 한다...

    댓글 0 0 0
    등록
  • 2009.09.23 14:24:30 수정 | 삭제

     

    해결을 해야 겠구먼

    댓글 0 0 0
    등록
  • 2009.09.16 10:44:09 수정 | 삭제

     

    잘 잘못을 떠나 누구나 민원인

    댓글 0 0 0
    등록
  • 2009.09.11 14:41:48 수정 | 삭제

     

    . 귀신이 다니면설 귀뻥을 후려갈겨야 전신깸을 할라나 귀신도 무심한지고 위장 전술자 들 -- - 귀뻥을 랑 ------- 잠만 주무시나요

    댓글 1 0 0
    • 당신은 그리 양심적이219902
      2009.09.12 09:24:49 수정 | 삭제
      의약분업시 무능한 선배약사들 때문에 후배 약사들이 먹고 살려고 궁여지책으로 머리 쓴 것을...당신도 약사된지 오래 되었다면 반성하고...그렇지 않으면 귀뻥 한 번 맞아보시던지...
    등록
  • 2009.09.11 13:31:47 수정 | 삭제

     

    독점, 담합할려고 위장점포까지 하는 이들 머리속에는 뭐가?

    댓글 2 0 0
    • 그런가219875
      2009.09.11 19:28:11 수정 | 삭제
      음~ 그런가? 읽고보니 그럴수 있겠네.
    • 219854
      2009.09.11 15:49:02 수정 | 삭제
      독점, 담합하려고 층약국하는게 아니라 먹고 살려고 하는거 아닐까요? 좋은 자린 선배약사들이 다 차지했는데 어쩌라고요? 근약으로 월급이나 받으며 쥔장 뒤치닥꺼리를 해야만 속이편하겠지만, 천만에 만만에 말씀.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5월)
서울 서부지역 약국 43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4,000 1,000 24,500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9,000 1,000 29,444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6,000 2,000 6,908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4,000 1,000 4,563
지르텍정(10정) 6,000 4,000 2,000 5,15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